partner.steamgames.com/doc/features/cloud
Steam Cloud (Steamworks Documentation)
Documentation Resources News & Updates Support
partner.steamgames.com
스팀 클라우드는 게임 세이브 저장 경로로 지정 하면 되고, 해당 폴더에 steam_autocloud.vdf 파일이 생긴다.
이 vdf 파일을 열면 플레이어의 ID 넘버가 쓰여져 있는데(친구 추가할 때 그 숫자들) 이 숫자로 세이브 파일을 스팀에서 불러오는 형식인것 같다. (근데 사실 vdf 파일이 없어도 잘만 불러와지더라)
세이브 파일은 게임 시작할때 무조건 클라우드로부터 불러오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세이브 파일 폴더 내에 세이브가 없을때에만 클라우드로부터 내려받고, 클라우드와 현재 세이브 파일이 다르더라도 현재 세이브 폴더내의 세이브 파일이 불러와진다.
게임 종료할 때 저절로 스팀 클라우드에 세이브 파일이 저장되는 것 같다.
스팀 클라우드 홈페이지 설명을 좀 더 풀어 말하자면 RootPaths에 세이브 경로를 먼저 지정한다.
만약 세이브 파일 폴더가 OS별로 다른 폴더로 지정되어 있다면 Root Overrides로 RootPaths의 경로가 되는 다른 OS경로를 입력해야된다.
예) 윈도우에서 내문서에 세이브 파일 폴더가 있다면, Mac이나 Linux에서 윈도우 내문서에 해당하는 경로를 각각 Root Overrides에 적어야하는 것이다.
그래서 만약 필요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여 경로를 등록하도록 하자.
(내 생각엔 세이브 폴더를 바깥 쪽에 빼둬서 나돌아댕기게 하는 것 보다는 게임 실행 파일 폴더 내에 두는 것이 안전하기도 하고 게임 삭제할 때 같이 삭제되서 좋을 것 같다.)
[Steam] Environment.SpecialFolder Window와 Mac 그리고 Linux 저장 위치
'Steam 관련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am/Steam publishing] Environment.SpecialFolder Window와 Mac 그리고 Linux 저장 위치 (0) | 2021.01.28 |
---|---|
[Steam/Steam publishing] 스팀 SDK적용하기 (0) | 2021.01.27 |
[Steam/Steam publishing] 스팀 업적 등록 관련 (0) | 2021.01.27 |